해외 시장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려면, 가장 먼저 갖춰야 할 것이 바로 국제 결제 수단입니다.
신뢰할 수 있고 간편한 결제 경험은 구매 전환율을 크게 높이며, 반대로 결제 과정이 복잡하거나 현지 통화가 지원되지 않으면 구매 이탈률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이제는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 비즈니스가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로 온라인 비즈니스를 하는 분들은 해외 결제 시스템에 대한 정보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 해외 결제 시스템 연동의 핵심 목표:
- 다국적 카드 및 통화 지원
- 안전한 거래 (PCI DSS 등 보안 인증)
- 현지 소비자 친화적인 결제 UI/UX
- 자동 환율 계산 및 정산 시스템
1.대표적인 해외 결제 시스템 비교 – 어떤 게 내 비즈니스에 맞을까?
해외 결제를 위한 결제 게이트웨이를 고를 때는 단순히 유명세나 수수료만이 아닌, 사업 모델, 국가, 제품 유형, 기술적 여건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비즈니스 시작 전 각 해외 결제 시스템의 특징과 장점들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실무에서 자주 활용되는 대표 결제 시스템 4종에 대한 상세 비교입니다.
1) PayPal – 글로벌 신뢰도 No.1의 결제 솔루션
PayPal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전자지갑 기반의 결제 시스템입니다.
이미 수억 명의 사용자 계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브랜드라면 신뢰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게 해주는 결제 수단입니다.
PayPal의 가장 큰 장점은 구매자 보호 정책, 간편한 결제, 그리고 브랜드 신뢰도입니다. 사용자는 로그인만으로 결제할 수 있고, 판매자는 별도 카드 정보 저장 없이도 빠르게 결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판매자 수수료가 높은 편이며, 일부 국가에서는 현지 계좌로 수익 정산이 느리거나 어렵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특히 국내 판매자가 직접 PayPal을 통해 정산받으려면 복잡한 송금 절차와 일정 수수료를 감수해야 합니다.
✅ 적합한 대상: 디지털 상품, 크리에이터, 초기 글로벌 쇼핑몰, 소규모 셀러
✅ 강점: 글로벌 사용자층 확보, 빠른 도입, 계정 기반 간편결제
✅ 단점: 높은 수수료, 국내 정산 절차 복잡, B2B에는 비효율적
2) Stripe – 개발자 친화성과 유연한 기능이 강점
Stripe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성장한 API 중심의 결제 플랫폼입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고, 맞춤형 UI 설계가 가능해 기술 리소스가 있는 기업에게 매우 적합합니다.
Stripe의 강점은 폭넓은 통화/국가 지원, 정기결제 기능 내장, 그리고 풍부한 부가 서비스 (세금, 대시보드, 분석 등)입니다.
또한 Apple Pay, Google Pay, Klarna, Alipay 등 다국적 결제 수단도 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Stripe는 기본 수수료가 2.9% + 0.30달러 수준으로, 비교적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구조입니다.
하지만 모든 국가에서 Stripe 계정 개설이 가능하지 않으며, 지원 국가 외에는 법인 설립이나 파트너십이 필요합니다. 또한, Stripe에 연동 가능한 은행인지도 사전 확인하셔야 합니다.
✅ 적합한 대상: SaaS 기업, 구독 서비스, IT 스타트업, 유연한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사업자
✅ 강점: 다양한 API 제공, 정기결제/로컬 결제 지원, 글로벌 통화 관리
✅ 단점: 비개발자에겐 도입 장벽 있음, 일부 국가 미지원
3️) Checkout.com – 고급형 글로벌 기업용 솔루션
Checkout.com은 주로 중대형 기업 또는 B2B/B2C 대규모 거래량을 가진 사업자들이 선택하는 결제 솔루션입니다.
특히 유럽과 중동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며, 최근에는 아시아와 미국에서도 존재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Checkout은 맞춤형 수수료 모델을 제공하며, 자체 리스크 분석 엔진과 통화 처리 기능도 뛰어납니다.
또한 KYC 및 AML(자금세탁방지) 규정을 준수하며, 법적 리스크를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어 기업 고객에게 유리합니다.
다만, 중소기업에게는 초기 세팅이나 계약 절차가 까다로울 수 있으며, 기본적인 API 연동 수준도 Stripe에 비해 진입 장벽이 있는 편입니다.
✅ 적합한 대상: 대형 이커머스, 글로벌 브랜드, 다국적 B2B 서비스 기업
✅ 강점: 안정적인 대규모 처리, 유연한 수수료 정책, 현지 최적화
✅ 단점: 도입 절차 복잡, 중소기업엔 과한 스펙일 수 있음
4) 2Checkout (현 Verifone) – 디지털 제품/콘텐츠 판매에 강점
2Checkout은 디지털 콘텐츠, 온라인 소프트웨어, 정기 구독 서비스에 특화된 글로벌 결제 시스템입니다.
특히 해외에서 소프트웨어나 디지털 상품을 판매하는 사업자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가장 큰 장점은 현지 법인 없이도 글로벌 판매가 가능하며, 200개 이상 국가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또한 카드 외에도 PayPal, Skrill, AliPay, UnionPay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지원합니다.
정기결제(Subscription) 시스템도 내장되어 있어 SaaS, 교육 콘텐츠, eBook 판매자에게 적합하며, 세금(VAT) 처리 및 자동 환전 기능도 탑재되어 있어, 별도 설정 없이 글로벌 판매가 가능합니다. 다만, 수수료가 다소 높게 책정되어 있고 UI가 다소 구식이라는 피드백도 있습니다.
✅ 적합한 대상: 디지털 콘텐츠 판매자, 교육 플랫폼, SaaS, 비개발자 중심 판매자
✅ 강점: 다양한 국가/결제 수단 지원, 세금처리 내장, 무법인 해외 판매 가능
✅ 단점: 수수료 높음, UI/UX 다소 낙후, 커스터마이징 제한
2. PayPal 연동 방법
PayPal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글로벌 결제 수단 중 하나입니다. 고객 입장에서는 이메일과 비밀번호만으로 결제 가능하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신뢰도와 접근성이 높은 서비스입니다.
✔ 연동 절차
- 비즈니스 계정 개설: PayPal 비즈니스에서 신청
- 웹사이트/쇼핑몰 연동:
- 기본 설정:
- Sandbox 테스트 후 실 서비스 전환
✔ 실무 팁
- 현지 통화로 결제받고 환전 여부 설정 가능
- 고객이 PayPal 계정 없이도 신용카드로 결제 가능 (비즈니스 설정에서 활성화)
- 거래 후 수수료를 제하고 PayPal 계좌로 수익 정산, 이후 국내 은행으로 인출 가능 (일반적으로 3~7일 소요)
3.Stripe 연동 방법
Stripe는 개발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빠르게 성장한 글로벌 결제 플랫폼입니다.
특히 정기 결제, SaaS, 스타트업, 커머스에서 많이 쓰이며 커스터마이징이 자유로워 유연한 설계를 원할 때 적합합니다.
✔ 연동 절차
- Stripe에서 계정 생성
- API Key 발급 후 서버 연동 (Node.js, Python, PHP 등 다수 언어 지원)
- Stripe Checkout 또는 Stripe Elements 이용해 프론트 UI 연동
- Webhook 설정 → 결제 성공/실패 후 서버 처리 로직 작성
✔ 주요 기능
- Apple Pay, Google Pay, Alipay, Klarna 등 다양한 로컬 결제 지원
- Subscription(정기 결제) 기능 내장
- 자동 세금 계산 기능 (Stripe Tax)
- Stripe Atlas: 법인 설립부터 결제까지 한 번에 가능 (특히 미국 진출 시)
✔ 실무 팁
- 다국적 통화 자동 지원 (고객에게 현지 통화 표시 가능)
- 국내 정산은 법인 은행 계좌 필요, 일부 국가는 Stripe 지원 제한 있음
- 결제 실패 재시도 로직 및 Fraud detection 기능 포함
4.다국적 결제 시스템 연동 시 주의사항
✔ 보안 규정 준수
- PCI-DSS 인증: 카드 결제 보안 기준
- HTTPS 보안 연결 필수
- 고객 카드 정보 직접 저장은 지양하고 Token 기반 결제 적용 필요
✔ 환율 및 세금 처리
- 현지 통화 → 달러/원화 환전 과정에서 수수료 발생 (자동 환산 기능 사용)
- 각 국가의 부가세/VAT 처리를 위한 설정 필요 (Stripe Tax, Avalara 등 이용 가능)
✔ 결제 실패 시 UX
- 결제 오류 시 자동 알림, 재시도 유도 페이지 필수
- 다양한 실패 원인 분석 로그 확보 (은행 거절, 한도 초과, CVV 오류 등)
✔ 고객 응대 시스템 연동
- 자동 영수증 발송, 결제 완료 페이지 설계
- 이메일/SMS 연동으로 알림 전송
- 환불 정책과 절차 명시
5.해외 결제 연동 실전 체크리스트
✅ 비즈니스 계정 등록 완료 (법인/개인사업자 가능)
✅ 결제 시스템이 지원하는 국가와 통화 확인
✅ 웹사이트/쇼핑몰에 결제 버튼, 보안 인증서 적용
✅ 현지 고객이 선호하는 결제 수단 확보
✅ 테스트 환경에서 실제 결제 흐름 시뮬레이션 완료
✅ 수익금 정산 루트(현지 은행 or 국내 인출 가능 여부) 파악
6.국가별 선호 결제 수단
🇺🇸 미국
미국은 신용카드 기반의 결제 문화가 매우 강한 국가입니다. Visa, MasterCard, American Express, Discover 등의 신용카드가 전체 온라인 결제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최근에는 Apple Pay, Google Pay, PayPal도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모바일 쇼핑에서는 Apple Pay의 성장률이 빠릅니다.
✅ 미국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다면 신용카드, PayPal, Apple Pay는 필수입니다.
🇨🇦 캐나다
미국과 비슷하게 신용카드 사용률이 매우 높으며, 대부분의 온라인 쇼핑몰이 Visa, MasterCard, Amex 등을 기본으로 지원합니다. PayPal의 보급률도 높은 편이고, 간편 결제 수단인 Google Pay, Apple Pay가 점점 확산되고 있습니다.
🇬🇧 영국
영국 역시 신용카드가 주 결제 수단입니다. 하지만 직불카드(Debit Card) 사용률이 높다는 점이 특징이며, 은행 간 송금 기반의 Open Banking 결제 시스템 (예: Trustly, Klarna Pay Now) 도 확산 중입니다.
PayPal은 매우 대중적인 옵션이며, 일부 젊은 층은 Klarna, Clearpay 같은 후불결제(BNPL) 서비스도 많이 사용합니다.
🇩🇪 독일
독일은 신용카드보다 직불카드와 은행 계좌 이체(IBAN 기반 SEPA 이체) 선호도가 높습니다. 온라인 쇼핑에서는 Sofort, Giropay, Klarna, PayPal과 같은 은행 기반 결제 시스템이 널리 쓰입니다. 신용카드는 다소 제한적이고, 할부보다 즉시이체, 송금이 보편적입니다.
🇫🇷 프랑스
프랑스 역시 직불카드(Carte Bancaire) 사용률이 높은 국가이며, 대부분의 온라인 결제는 Visa 또는 MasterCard로 처리됩니다. 또한, Paylib이라는 프랑스 로컬 간편 결제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으며, PayPal은 유럽 전체에서 두루 활용됩니다.
🇯🇵 일본
일본은 카드 결제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현금 문화가 강한 국가입니다.
온라인에서는 신용카드 (JCB, Visa, MasterCard), Konbini 결제(편의점 후불), PayPay, Rakuten Pay 등의 로컬 결제 수단이 사용됩니다. 특히 편의점 결제 방식은 일본 시장에 진출할 경우 필수로 검토해야 할 요소입니다.
🇰🇷 대한민국
한국은 매우 높은 디지털 결제 사용률을 보이며,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Toss 등의 간편 결제 수단이 급성장했습니다. 신용카드 사용률도 여전히 높으며, 이중 인증과 공인인증서 기반의 보안 요건이 까다로운 편입니다. 외국 결제 시스템이 한국에서 직접 통합되기는 쉽지 않으며, 로컬 PG사와의 연동이 보편적입니다.
🇨🇳 중국
중국은 신용카드보다 QR 기반 모바일 결제가 압도적으로 보편화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lipay(알리페이), WeChat Pay(위챗페이)가 전체 온라인 결제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해외 브랜드가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면 이 두 가지 결제 시스템 연동은 거의 필수입니다. 또한 UnionPay(중국 은련)는 카드 기반 결제를 원하는 고객에게 대응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 브라질
브라질은 신용카드 결제가 보편적이지만, 할부 결제(Cartão de Crédito parcelado)가 매우 흔합니다. 또한 Boleto Bancário라는 고유의 바우처 기반 송금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며, 최근에는 Pix라는 QR 기반 실시간 은행 송금 시스템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습니다. PayPal도 브라질 내 사용자는 많지만, 현지 은행 결제 옵션이 없다면 구매 전환이 낮을 수 있습니다.
🇮🇳 인도
인도는 모바일 결제 시장이 급성장 중이며, UPI(통합 결제 인터페이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Google Pay, PhonePe, Paytm 등 UPI 기반 결제 앱이 대중화되었고,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결제도 여전히 병행됩니다.
현지 법규로 인해 외국 PG사가 진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도 전용 결제 파트너(PayU, Razorpay 등) 연동이 일반적입니다.
🇮🇩 인도네시아
카드 보급률이 낮은 편으로, 은행 송금, 전자지갑(e-wallet), 편의점 결제가 많이 활용됩니다. 특히 OVO, DANA, GoPay 등의 로컬 전자지갑의 시장 점유율이 높습니다. 중저가 제품 판매 시 무통장입금(Virtual Account)이 여전히 많이 사용됩니다.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도 결제 단계에서의 이탈은 전체 매출에 큰 영향을 줍니다. 어떤 상품을 보고 사기로 마음까지 먹었더라도 결제 절차에서 막힌다면 주문을 취소하거나 구매를 보류하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차원에서 상품 구매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외 결제 시스템을 잘 구축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현지 고객에게 익숙하고 편리한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은 단순한 기술 연동을 넘어서 고객경험(CX) 전략의 핵심입니다.
특히 Stripe, PayPal 같은 플랫폼은 아래 특징을 지원하기 때문에 해외 진출 초기 단계의 실전적 해법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 빠른 연동
✅ 글로벌 확장성
✅ 다양한 로컬 결제 수단
'해외진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상거래(쇼핑몰) 해외 진출 전략 – 글로벌 셀러의 성공 설계도 (0) | 2025.04.24 |
---|---|
해외 진출 성공의 핵심, ‘해외 배송 시스템’부터 시작하자 (0) | 2025.04.24 |
글로벌 마케팅 전략: 디지털 채널로 해외 진출 해보자! (0) | 2025.04.22 |
해외 시장 조사 방법: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의 첫걸음 (0) | 2025.04.22 |
인도 진출 한국 기업을 위한 인도 조세 제도 완벽 가이드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