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의 경제 허브로, 외국 기업에 개방적인 환경과 안정적인 법·제도 시스템을 갖춘 국가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한국 기업들이 아시아 시장 확대의 거점으로 싱가포르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현지 법인 설립 이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취업비자(Employment Pass, EP) 발급입니다.
이 가이드는 싱가포르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을 위해 대표적인 취업비자 중 하나로 EP 비자 소개, 자격 요건, 신청 절차, 유의사항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1. Employment Pass(EP) – 핵심 취업비자
한국 기업의 싱가포르 진출 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자는 Employment Pass(EP)입니다. 현지 법인 설립 후 핵심 인력을 파견할 때 주로 활용됩니다.
자격 요건 (2025년 기준)
- 최소 월 급여: SGD 5,000 이상
(금융·IT 등 특정 직군은 더 높은 기준 적용, 예: 금융은 SGD 5,500 이상) - 학력: 학사 이상 학위(인정된 기관 졸업)
- 경력: 해당 직무 관련 경력 요구
- 고용주: 싱가포르에 등록된 법인
※ 나이, 경력, 직무 수준에 따라 요구되는 급여 기준도 함께 상향됨.
2. Employment Pass(EP) 신청 절차 상세 가이드
Employment Pass는 싱가포르에서 외국인 전문가(경영진, 관리자, 기술직 등)를 고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핵심 취업비자입니다. 아래는 EP 신청을 위한 단계별 상세 절차입니다.
✅ STEP 1: 싱가포르 법인 설립 (사전 요건)
- 법인 등록 기관: ACRA (Accounting and Corporate Regulatory Authority)
- 필수 요건: 가장 먼저 싱가포르에 등록된 법인이 있어야 하며, 해당 법인 산하에 비자 신청 합니다.
- 유효한 UEN(Unique Entity Number)
- 현지 주소지
- 최소 1인의 싱가포르 거주 이사 필요
- 설립 완료 후:
- 회사 법인명, UEN, 등록 주소지 등을 EP 신청서에 기입 가능
✅ STEP 2: EP Online 계정 등록
- 주관 기관: 싱가포르 인력부(Ministry of Manpower, MOM)
- 절차:
- EP 신청은 EP Online 포털을 통해 온라인으로 처리 가능
- 고용주는 CORPPASS (싱가포르 기업 인증 포털) 계정을 통해 접속
- 외부 대행사 또는 기업 HR 담당자가 신청할 수도 있음
✅ STEP 3: 서류 준비
필수 서류 목록:
- 고용 제안서/고용 계약서 (Offer Letter)
- 지원자의 여권 사본 (컬러 스캔본)
- 학위 증명서 및 성적표 (영문본)
- 경력증명서 또는 이력서 (CV) - 관련 경력 기술 필요
- 기업 정보 (등록증, 조직도, 재무자료 등 – 경우에 따라 요구)
- 직무기술서 (Job Description) - 직무가 전문성이 요구되는 역할임을 명확히 기재하는 것이 좋음.
참고사항:
- 서류는 영문으로 제출해야 하며, 공식 번역본 필요시 공증 또는 번역 인증서 요구됨
- MOM이 요청할 경우 추가 자료 제출 필요
✅ STEP 4: EP 신청서 제출
- 신청 플랫폼: EP Online (https://www.mom.gov.sg)
- 신청자: 고용주 또는 대행 기관
- 소요 기간: 일반적으로 3~8주, 경우에 따라 더 길어질 수 있음
신청서 주요 입력 항목:
- 고용주의 UEN 및 기업 정보
- 지원자의 개인 정보 및 여권번호
- 직무명 및 상세 직무 내용
- 급여 정보 (월 기준)
- 학력, 경력 정보
✅ STEP 5: In-Principle Approval (IPA) 발급
- 신청이 승인되면 IPA Letter (사전 승인서) 발급
- 유효 기간: 통상 6개월(레터상에 명기됨)
- IPA는 해당 외국인이 싱가포르에 입국하여 비자 발급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입국허가서 역할도 겸함
✅ STEP 6: 입국 및 신체검사
- 외국인은 IPA와 여권을 지참하고 입국
- 신체검사(Medical Examination): 지정 병원 또는 MOM 승인 의료기관에서 진행 (결핵, HIV 등 검사 포함)
- 신체검사 결과서는 MOM에 온라인 또는 현장 제출
✅ STEP 7: EP 카드 발급
- 카드 등록 장소: Employment Pass Services Centre (EPSC)
- 등록 항목: 직접 현지 입국 및 위 장소 방문하여 아래 절차 진행 필요
- 생체정보(지문, 얼굴 사진)
- 서류 확인
- EP 카드 수령: 통상 4~7일 내 우편 수령 또는 직접 수령
✅ STEP 8: EP 발급 후 후속 조치
- 세금 신고 준비: IRAS에 외국인 직원 등록. 개인소득세 신고 의무 발생
- CPF(중앙 적립금): EP 소지자는 CPF 의무 없음. 현지인 채용 시 의무적으로 신고 및 납부 필요
- 동반 가족 비자 신청 가능: Dependant Pass 또는 Long-Term Visit Pass 신청 자격 발생 (월급 기준 충족 시)
3. 유의사항 및 팁
- 비자 발급률은 지원자의 경력, 학력 수준, 회사의 규모와 업종, 외국인 고용비율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신생 법인의 경우 충분한 자금력을 갖추고 있는지 보기 위해 초기 자본금 증자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Fair Consideration Framework에 따라, 싱가포르 현지 인재 채용을 우선 고려한 점을 증빙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COMPASS 제도 (2023년 도입): EP 신청 시 다양한 요소를 점수화하여 평가. 기업 평판, 고용 다양성, 급여 수준 등이 반영됩니다.
- 갱신: EP는 통상 1~2년 유효하며, 갱신은 조건 충족 시 가능.
싱가포르의 취업비자 정책은 외국인 인력에 대한 수요와 국내 고용 환경을 균형 있게 반영하기 위해 유동적입니다. 따라서 현지 법률 및 정책에 정통한 전문가의 자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국 기업이 싱가포르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핵심 인력의 원활한 현지 파견과 정착을 뒷받침하는 비자 전략이 필수입니다. 싱가포르 정부는 우수 인재 유치에는 개방적이므로, 충분한 자격 요건과 신뢰성 있는 비자 신청 자료 준비가 성공의 열쇠입니다.
'해외진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기업이 꼭 알아야 할 베트남 조세제도 핵심 포인트 (0) | 2025.04.13 |
---|---|
말레이시아 진출을 고려하는 한국 기업에게 필요한 말레이시아 조세 정보 (0) | 2025.04.13 |
해외 진출을 고려하는 한국 기업들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 총정리 (0) | 2025.04.11 |
말레이시아 외국인 취업비자 가이드 (Employment Pass Guide) (0) | 2025.04.09 |
말레이시아 법인 설립, 한국 기업의 동남아 진출 전략의 핵심 (0) | 2025.04.09 |